내 정보를 복제해서, 다른 휴대폰으로 본인 인증은 물론 문자까지 다 통제가 가능합니다. 예를들어, 내 명의로 통장을 만들고, 대출까지도 가능하다는 말이 됩니다. 타 통신사 사용자분들도 만약을 대비해, 최소한 아래의 필수 5가지 보안설정을 해둘 것을 강력히 권장합니다. 최대한 이해가 쉽도록 작성하려고 노력했습니다.
√ 2025년, 유심해킹 관련, 보안설정 5가지!
1. "유심보호서비스" (통신사 앱)
고객의 유심을 다른 휴대폰에 넣어도, 통화가 되지 않으며, 유심 무단사용을 통한 금융 사기 및 피해를 방지합니다.
사용하고 있는 통신사 앱을 실행합니다.
검색에서 "유심"으로 검색합니다.
유심보호서비스를 신청합니다. (예: T월드 -> 유심보호서비스-> 무단기기변경(차단))
2. "번호도용문자차단" (통신사 앱)
내 휴대폰 번호를 도용하여, 인터넷 문자를 발송하지 못하도록 차단합니다.
사용하고 있는 통신사 앱을 실행 합니다.
검색에서"번호도용문자차단"으로 검색합니다.
번호도용 문자차단을 신청합니다.
3. "가입제한설정" (PASS 앱)
내 명의를 도용해, 휴대폰을 개통하거나, 번호이동 등의 행위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ASS 앱 설치 -> PASS 앱 실행 -> "전체"(오른쪽 하단) -> "명의도용방지" -> "가입사실현황조회"
주민등록번호 입력 사항, 동의 후 확인.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입력.
본인이 가입한 통신사 조회내역 확인.
"가입제한설정"(상단) -> "전체 개통 제한" 클릭. (모든 통신사 제한)
4. "여신거래 안심차단" (은행 앱)
신용대출, 카드론, 신용카드 발급 등의 행위를 차단합니다.
거래 은행에 따라, 은행 인터넷 홈페이지와 앱에서도 설정이 가능합니다.
한 은행에서 신청해도, 전체 금융사의 대출 신청을 막을 수 있습니다.
해당 서비스를 다시 이용하고자 한다면, 직접 영업점을 방문하여 서비스를 해제해야 합니다.
5. "비대면 계좌개설 안심차단" (은행 앱)
입출금통자, 개인사업자통장, 증권사 주식계좌 개설이 차단됩니다.
거래 은행에 따라,은행 인터넷 홈페이지와앱에서도 설정이 가능합니다.
한 은행에서 신청해도,전체 금융사의 대출 신청을 막을 수 있습니다.
해당 서비스를다시 이용하고자 한다면,직접 영업점을 방문하여 서비스를 해제해야 합니다.
√ 마무리
보안 설정이 최선!
유심해킹 등의 이유로 개인정보가 유출되고, 그로 인한 피해가 발생했을 경우, 개인이 개인정보 유출을 입증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다시 말해, 피해보상을 받을 가능성이 낮다는 말입니다. 달리 보상을 받을 방법이 따로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미리 미리 위에서 언급한 최소한의 필수 보안 설정을 하시고, 대비하는 것이 나의 소중한 은행 잔고와 정보를 보호하는 길이 될 것입니다.